Server & OS

집에 있는 PC를 밖에서 쓰자 / 터미널 서비스

페이지 정보

본문

많은 사람들이 학교와 직장에서 집에 있는 컴퓨터를 꼭 써야 하는 일을 겪는다. 중요한 파일을 찾거나 소프트웨어 설치, 다운로드 같은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밖에서도 집의 컴퓨터를 쓰길 원한다. 단순히 파일을 공유한다면 FTP 같은 방법을 써도 되지만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하는 일은 할 수 없다. 집에서 모니터를 보는 것과 같이 밖에서도 컴퓨터를 쓰려면 다른 소프트웨어를 써야 한다. 예전에는 비싼 돈을 주고 전용 프로그램을 사서 써야 했지만 요즘은 공짜로 이런 일을 할 수 있다. 그것이 터미널 서비스다.
 
middle_titleicon.jpg 터미널 서비스를 쓰기 전에

터미널 서비스는 밖에서 가정 또는 사무실에 있는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몇 가지 조건이 갖춰져야 한다.

system.jpg

터미널 서비스를 쓰기 전에 쓰고 있는 운영체제가 터미널 서비스를 쓸 수 있는 운영체제인가 확인한다.

■ 운영체제 - 터미널 서비스는 원래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운영체제, 특히 서버용 OS의 원격 조작용으로 만든 기능이다. 그러므로 터미널 서비스를 쓰려면 터미널 서버(접속할 컴퓨터)가 다음 운영체제를 써야 한다.

- 윈도우 NT 4.0 터미널 서버 에디션
- 윈도우 2000 서버
-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 윈도우 서버 2003

윈도우 9x(95, 98, ME)와 윈도우 2000 프로페셔널, 윈도우 XP 홈 에디션은 터미널 서비스를 쓸 수 없다.

또한 터미널 서비스를 쓸 수 있는 운영체제라 해도 외부에서 접속했을 때 쓸 수 있는 색, 소리 재생 여부, 한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사람 숫자가 달라진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나온 표를 참조하자.

  최대 색상 사운드 재생 동시 접속
윈도우 NT 4.0 터미널 256색 불가 가능
윈도우 2000 서버 256색 불가 가능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65,536색 가능 불가
윈도우 서버 2003 65,536색 가능 가능

■ 인터넷 회선 - 터미널 서비스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쓴다. 그러므로 터미널 서버는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내부(사무실, 가정 안)에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면 내부 네트워크가 아닌 인터넷을 항상 쓸 수 있어야 한다. 네트워크 장치와 컴퓨터 전원만 켜져 있으면 별다른 접속 프로그램을 쓰지 않아도 되는 전용 회선, 케이블 모뎀, VDSL은 컴퓨터를 켜기만 하면 터미널 서버가 시작된다. 하지만 따로 사용자 인증(로그인)을 해야 하는 ADSL 사용자는 인터넷 공유기를 쓰거나 자동 접속 프로그램을 써야 한다.

인터넷 접속이 되었다고 모든 것이 끝난 것은 아니다. 터미널 서비스는 네트워크 포트(네트워크의 신호가 서로 충돌하기 않기 위해 만든, 신호의 차선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FTP는 21번, 웹은 80번 포트를 쓴다.) 3,389번을 쓴다. 이 포트를 인터넷에서 쓸 수 있도록 해야(연다고 표현한다) 외부에서 터미널 서버로 들어올 수 있다. 인터넷 공유기를 쓰는 컴퓨터는 포트 포워딩(Port Fowarding)이라는, 인터넷 공유기로 들어온 신호를 특정 컴퓨터로 보내도록 해야 한다.

인터넷 공유기의 포트 포워딩 메뉴를 골라 포트 3,389번을 터미널 서버 PC로 돌려주면 모든 준비는 끝난다. 공유기마다 포트 포워딩 설정을 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설명서를 읽고 환경 설정을 바꿔야 한다.

autorun_s.jpg

윈도우 2000 또는 윈도우 XP CD에는 터미널 서비스 접속 소프트웨어,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들어 있다.

■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 - 터미널 서비스는 웹 브라우저가 아닌 전용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쓴다. 이 소프트웨어는 따로 살 필요는 없지만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할 수 없으므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윈도우 CD 안에 들어 있다. 윈도우 XP 프로페셔널 CD에 들어 있는 터미널 서비스 접속 프로그램은 아래 위치에 있다.

SUPPORT\\TOOLS\\MSRDPCLI.EXE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윈도우 95 이상 운영체제면 어떤 컴퓨터라도 쓸 수 있다. 터미널 서버는 운영체제 제한이 크지만 접속은 어떤 컴퓨터라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리눅스, OS/2와 같은 비 마이크로소프트 운영체제는 쓸 수 없다.

middle_titleicon.jpg 터미널 서비스를 준비하자

터미널 서비스를 쓰려면 간단한 설정을 해야 한다. 여기서는 윈도우 XP 프로페셔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윈도우 2000 서버와 같은 운영체제는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setting1_s.jpg

사용자 계정과 암호가 없으면 터미널 서비스를 쓸 수 없다.

① 제어판 → 사용자 계정 메뉴를 고른다.

setting2.jpg

관리자(Administrator) 계정 이외의 다른 계정을 만드는 것이 좋다.

사용자 계정을 만든다. 이미 사용자 계정(ID)를 만들었다면 이 단계는 건너 뛴다.

setting3.jpg

이름은 영문과 숫자로, 띄어 쓰기 없이 만들어야 한다.

작업 선택 메뉴에서 '새 계정 만들기'를 누르고 새로운 계정(ID)를 넣는다. 계정 이름은 가급적 영어로, 띄어 쓰기와 특수 문자를 넣지 않고 만드는 것이 좋다.

setting4.jpg

제한된 계정 보다 컴퓨터 관리자 계정으로 만들어야 편하다.

계정 유형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컴퓨터 관리자'로 한다. '제한된 계정'을 고르면 운영체제의 일부 메뉴를 쓸 수 없어 보안에 좋지만 터미널 서비스 설정이 복잡해지며 할 수 있는 일이 줄어든다. '계정 만들기' 버튼을 누르면 ID를 만든다.

setting5.jpg

암호를 만들지 않으면 다른 준비가 끝나도 터미널 서비스를 쓸 수 없다. 윈도우 XP를 설치할 때 만드는 계정은 암호가 없다.

만들 계정을 클릭한다. 그러면 다섯 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암호 만들기'를 클릭한다.

setting6.jpg

암호는 기억하기 쉽되 단순하지 않아야 한다.

'새 암호 입력'과 '확인하기 위해 다시 새 암호 입력'에 똑같은 암호를 넣는다. 암호는 숫자와 영문 대·소문자를 쓸 수 있지만 가급적 주민등록번호, 집 전화번호, 연속된 숫자(12345678)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암호 힌트'는 암호를 잊었을 때 암호를 기억할 수 있는 힌트를 표시하는 메뉴로 필요하다면 힌트를 적는다. 이것은 강제 사항이 아니므로 안 적어도 된다.

setting7.jpg

원격 데스크톱 부분에 체크한다. 원격 지원은 굳이 쓸 필요가 없다.

제어판의 시스템 메뉴를 클릭하고 원격 탭으로 옮긴다. 원격 탭의 메뉴는 크게 메신저를 쓰는 원격 지원과 터미널 서비스인 원격 데스크톱이 있다.

그 가운데 '사용자가 이 컴퓨터에 원격으로 연결할 수 있음'에 체크한다. 이 메뉴에 체크하고 적용 또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컴퓨터 관리자 권한을 가진 사람은 바로 터미널 서버에 들어올 수 있다.

middle_titleicon.jpg 터미널 서비스에 들어 가자!

외부에서 터미널 서버에 접속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르면 된다.

install.jpg

▲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없는 컴퓨터는 따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설치한다. 윈도우 XP를 쓰는 컴퓨터라면 따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 없이 보조 프로그램 → 통신 →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고르면 된다.

connect1.jpg

내부 컴퓨터는 컴퓨터 명을 입력해도 되지만 보통은 IP 주소를 넣는다.

'컴퓨터' 항목에 터미널 서버의 IP(인터넷 주소)를 넣고 '연결' 버튼을 누른다.

터미널 서버의 IP는 외부에서 알 수 없으므로 미리 IP 주소를 적어 놓아야 한다. IP 주소를 보는 방법은 인터넷 공유기를 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 차이가 있다.

▲ 인터넷 공유기를 쓰지 않는 컴퓨터

cmd1.jpg

cmd는 명령 창을 부르는 명령이다. DOS 화면과 거의 같다.

실행 메뉴에서 CMD를 넣어 명령 창을 연다.

cmd2_s.jpg

ipconfig는 IP 환경 설정을 할 수 있는 명령이나 IP 주소를 볼 때 더 많이 쓴다.

ⓑ 'ipconfig'라는 명령을 넣고 엔터 키를 누른다.

cmd3_s.jpg

▲ 'IP Address' 부분이 중요하다.

'IP Address'에 나온 값을 적는다. IP 주소는 컴퓨터를 끄거나 인터넷 접속을 끊지 않는 한 바뀌는 일은 드물다. 적어도 하루 정도는 바뀌지 않는다.

▲ 인터넷 공유기를 쓰는 컴퓨터

share.jpg

인터넷 공유기는 내부 IP와 외부 IP가 따로 있다. 외부 IP가 진짜 인터넷 IP다.

인터넷 공유기를 쓰는 컴퓨터는 위에 설명한 방법을 쓰면 엉뚱한 IP 주소가 나온다. 이 주소는 사설 IP로 인터넷에서 어떤 의미도 갖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터넷 공유기를 쓰는 컴퓨터에서 IP 주소를 알아내려면 인터넷 공유기의 환경 설정 메뉴에서 외부 IP 값을 찾아야 한다.

connect2_s.jpg

connect3_s.jpg connect4_s.jpg

암호와 비밀번호를 넣으면 밑의 화면이 나타난다. 실제 본 기자가 집에서 쓰는 컴퓨터 화면과 같다.

로그온 화면이 나타나면 터미널 서버 컴퓨터에 설정한 계정과 암호를 넣는다. 계정과 암호가 올바르다면 터미널 서버 컴퓨터의 윈도우 화면을 볼 수 있다.

middle_titleicon.jpg 더 빠르게, 더 편하게 - 옵션 조절

대부분의 고속 인터넷은 상향(업로드) 속도가 빠르지 않다. 그러므로 집에 있는 컴퓨터를 터미널 서비스로 접속한다면 화면 속도가 느리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 이런 경우 터미널 서비스 클라이언트의 옵션을 조금 손 보면 더 빠르고 편하게 쓸 수 있다.

option1.jpg

회사와 PC방에서 암호를 저장하지 않도록 한다.

① 일반 - 일반 탭은 한 번 기억한 터미널 서버의 로그인 정보를 바꿀 수 있다. 로그인 과정을 더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 계정과 비밀 번호를 넣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접속할 위험이 있는 공공 컴퓨터를 쓴다면 이 정보를 남기지 않도록 한다.

option2.jpg

인터넷 회선 속도가 빠르지 않다면 해상도와 색상을 낮춘다.

option2-1_s.jpg option2-2_s.jpg

왼쪽 사진은 256색, 오른쪽 사진은 16비트 색상이다. 오른쪽이 훨씬 깔끔하지만 속도는 느리다.

② 표시 - 터미널 서비스는 화면 정보를 압축해 주고 받으므로 해상도와 색상을 높게 잡으면 화면 속도가 느려진다. 그러므로 회선 속도가 빠르지 않다면 원격 데스크톱 크기를 작게, 색은 낮게 잡으면 된다.

윈도우 2000 이하의 운영체제는 256색 이상을 쓰지 않으며 윈도우 XP와 서버 2003은 하이 컬러까지 설정할 수 있다.

option3.jpg

원격 컴퓨터 소리는 윈도우 XP 이상에서만 쓸 수 있다.

③ 로컬 리소스 - 로컬 리소스 항목은 하드디스크, 각종 포트를 터미널 서비스에서 쓸지 결정한다. 터미널 서비스를 쓰는 대부분의 사용자는 하드디스크에 있는 자료를 읽고 쓰는데 목적을 두므로 기본 값은 '디스크 드라이브'만 공유한다. 프린터와 같은 다른 장치를 쓰려면 프린터 포트와 직렬 포트를 공유해야 한다.

'원격 컴퓨터 소리'를 쓰면 터미널 서버에서 나는 소리가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난다. 소리는 바로 나지 않고 회선에 따라 몇 초의 시간 차이가 있다. 이 기능은 윈도우 XP와 서버 2003 운영체제를 쓰는 터미널 서버만 쓸 수 있으며 윈도우 2000 이하 운영체제는 쓸 수 없다.

option5.jpg

불필요한 옵션을 끄면 터미널 서비스를 더 빠르게 쓸 수 있다. 하지만 비트맵 캐싱은 끄지 말아야 한다.

option5-1_s.jpg option5-2_s.jpg

대부분의 옵션을 끄면 왼쪽 사진의 화면이, 옵션을 전부 켜면 오른쪽과 같은 화면이 된다.

④ 고급 - 해상도와 색상을 낮추면 어느 정도 속도가 빨라지지만 윈도우 XP와 같이 화려한 효과를 쓰는 운영체제는 속도 향상에 한계가 있다. 고급 메뉴는 이런 효과를 꺼 더욱 빠른 터미널 화면을 보여준다.

속도를 높이려면 '비트맵 캐싱'을 제외한 나머지 옵션을 전부 끄면 된다.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 접속한다면 모든 옵션을 켜도 큰 지장은 없지만 불필요한 배경이 없는 것이 체감 속도는 더 빠르다.

관련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day's proverb
친구란 두 신체에 깃든 하나의 영혼이다. (아리스토텔레스)